섬유난방장치   첨단 난방의 획기적 신소재 섬유난방의 리더 태성산업 온세상!
  • 온세상 섬유난방장치
  • 시공방법
  • 난방 유형별 비교

섬유 난방장치

건강한 생활을 위한 친환경 신소재 WELLBEING 난방시스템!

제품 규격

구분 모델명 규격(mm) 두께(mm) 포장단위(M) 소비전력
난방용 T-1500-TL 1500×1000 0.5 0.5 300W
T-1000-TL 1000×1000 0.5 0.5 200W
T-750-TL 700×1000 0.5 0.5 150W
고열용 T-750-TH 750×1000 0.5 0.5 500W
T-380-TH 380×1000 0.5 0.5 300W
매트용 T-750-TM 750×1000 0.5 0.5 120W
T-1500-TM 1500×1000 0.5 0.5 250W

적용사례

시공방법

원적외선 섬유난방 시공방법!

시공 전 준비사항

- 난방 시공할 장소를 정확히 측정하고 난방제품 시설 범위와 설치 도면 작성 및 소비전력 산출 후 설치 장소의 계약 전력을 반드시 확인 후 시공합니다.

자재 준비

- 원적외선 섬유 난방제품, 바닥 단열재, 압착단자, 고압 인두기, 부틸 테이프, 전선, 온도 조절기, 전원코드, OPP 테이프, 마감재에 따른 보호판 등

주의사항

- 쉽고도 어려운 것이 전기 관련 공사입니다. 시공 장소의 전력과 난방장치의 소비전력을 정확히 산출 후 안전한 시공을 위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시공하여야합니다.

- 난방제품과 제품 간 사이는 겹치지 않도록 설치합니다.

시공순서

1. 바닥청소

시공 전 섬유난방재에 흠집이나 문제를 일으킬 돌출 부위 제거 후 바닥을 깨끗이 청소합니다.

2. 방습처리

방습처리 및 단열재 재단과 부착
방습처리 : 바닥에 습기가 있거나 우려 시, 완벽하게 건조하고 방습 비닐을 깔아 습기를 차단합니다.
단열재 재단 및 부착 : 시공 장소 크기에 맞게 전용 단열재를 시공 부분에 맞게 재단하고 스프레이 본드나 수용성 본드를 사용하여 바닥에 고정 후 단열재 이음새 부분을 OPP 테이프로 부착, 고정하여 습기를 차단합니다.

3. 섬유 난방제품 재단 및 고정

시공 전 섬유난방재에 흠집이나 문제를 일으킬 돌출 부위 제거 후 바닥을 깨끗이 청소합니다.

4. 단자연결

동박선 부위 피복제거 후 전용 압착 단자를 동박선과 연결 후 압착기로 확실히 물려주고 부하방지를 위해 2차 납땜 처리합니다.

5. 전선연결

연선을 사용하며 시공 장소의 소비전력에 적합한 전선(2.5mm 이상)을 병렬로 연결하여 설치합니다.

6. 절연처리

단자 연결 부분을 부틸 테이프로 절연/방습 처리하고 난방 제품이 발열 시 부틸테이프에 이격이 생기므로 고열용 절연테이프로 한 번 더 완벽히 절연/방습 처리하여 누전되지 않도록 합니다.

7. 온도조절기 설치

시공 부분의 전기용량에 맞게 온도조절기를 설치합니다.
온도 조절기는 통상 개별 용량이 4kW(18A)지만, 15A 이하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평당 600W 전력을 소모함으로 6평 미만으로 설치합니다)
온도조절기 설치 시 전원코드(IN) 입력, 난방제품에 연결된 선(OUT) 출력으로 연결합니다.

8. 온도센서 부착

온도 센서 감지 부위를 난방장치 아래쪽에 위치하게 하고 돌출되지 않도록 단열재를 절개하여 사이에 센서를 부착하고 고열용 테이프로 고정합니다.

9. 시험가동

전원을 공급하여 난방장치가 정상적으로 발열되는지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전원공급 후 차단기 동작 여부를 반드시 확인합니다.

10. 마무리 정리 및 보호판 설치

전체적인 시공 부분 배선정리와 난방장치 주변을 깨끗이 정리 후 OPP 테이프로 완벽히 절연/방습 처리한 후 고정해줍니다.
마감재 시공에 맞게 보호판을 설치합니다.
보호판 설치 시 보호판과 보호판 사이를 3mm 정도 뛰어 OPP 테이프로 고정해줍니다.

11. 마감재 시공

강화마루 시공 : 보호판 필요 없음
데코타일과 온돌마루 시공 : 본드 접착방식~마그네슘 보드 보호판 설치!
장판 시공 : PE 압축보호판 설치!

발열체 유형별 특징 비교표

구분 전기판넬형 금속동상형 발열체 카본필름형 면상발열체 섬유직조형 면상발열체(온세상)
제작방식 전기장판식 코일형 구리성분의 발열봉 활용 PET필름에 탄소발열체
인쇄 후 라미네이팅 처리

초정밀 저항값의 카본발열사로서
우수한 발열직물 생산

열방출 방식 전도식 열전달(발열3분)
난방면의 온도편차
전도식 열전달(발열3분)
난방면의 온도 편차
복사식 열전달 복사식 열전달 방식
(전원연결과 동시에 발열)
열효율 최대발열50~65℃
온도조절기 필수 부착
최대발열 90~120℃
온도조절기 필수 부착
최대발열80℃
온도조절기 필수 부착
최대 발열 ~150℃ 가능
온도조절기 선택 부착 가능
열특성 고온시 발화, 인체 화상   고운시 접합부 열화▶발화위험
발화유지불가
고온시에도 화상없음
▶안전성 확보
안전성 저급발열선 사용에 의한
화제및 습기에 의한 감전/누전
전극선 부착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
장기사용시 전극선 이격으로
화재위험 및 수명보장이 안됨
직조된 섬유소재 훼손시 훼손부위만
단전열되어 반영구적, 안전성 보장
경제성 과소모 전력▶과비용 발생
전력선의 제한▶시공의 한계
과소모 전력▶과비용 발생
봉상크기 제한▶시공의 한계
과소모 전력▶과비용 발생
필름크기 제한▶시공의 한계
열분포도가 고르므로 전력소모가 적고
열전도 및 열효율 극대화, 시공면적의
크기 조절 자유로움
공간난방 불가 미약 미약 매우 뛰어남
위해성 전자파 노출 전자파 노출

전자파 적음,
원적외선 방출 미약

원천적으로 전자파 발생 없음
원적외선 복사열 최대방출
영구성 구김 시 단락발생
재활용 불가, 보관의 불편
보존 및 유지의 어려움,
재활용 불가
파손이 쉬움, 훼손시
기능 상실, 재활용 불가
섬유재질로서 변형 및 가공이 자유롭고
보관이 용이하며, 재활용 가능
발열구조 전도발열 전도 발열 직선형 무산소 발열(일자발열) 방사형 무산소 발열(6각 발열)
원적외선 투과 없음, 유해전자파 발생 없음 미약 실제적인 다량의 원적외선 방사
원적외선 효과 없음 없음 부분 박멸 진드기, 곰팡이 등 유해균 박멸, 탈취

시공 및 난방 방식에 따른 비교표

구분 온세상 발열체 히팅필름 전기 온돌판넬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난방연료 전기 전기 전기 등유 LPG, LNG
난방방식 복사열 공간난방 복사열 공간난방 전도식 바닥난방 전도, 대류식 바닥난방 전도, 대류식 바닥난방
원적외선 92% 이상 90%
난방속도 3~5분 7~10분 15~30분 30~60분 30~60분
전자파 거의 없음 거의 없음 다량 발생
시공기간 당일 당일 당일 4~5일 4~5일
평당하중 2kg 2kg 20kg 200kg 이상 200kg 이상

에너지 유형별 발열량에 따른 유지비 비교표

난방방식 당사 온세상 전기온열판넬 LPG 등유보일러 도시가스
총 발열량 860 Kcal/Kw 860 Kcal/Kw 12,000 Kcal/Kg 860 Kcal/L 860 Kcal/N㎥
월에너지 소비량 550W/평 580W/평 120/Kg 164/L 130/N㎥
소비자가격(원) 100 100 1932 1542 896
사용요금(원) 108,000 144,000 231,840 252,880 116,480
1. 각 에너지별 금액 내용은 가격변동요인 발생 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전력량 요금은 일반용 전력(갑) 저압 전력 겨울철(11월~2월) 요금 적용기준이며, 누진세는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3. 도시가스(LNG) 요금은 서울지역 주택난방요금 적용기준이며, 지역에 따라 요금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4. 상기 요금적용은 2012년 2월 기준입니다. (10평 공간을, 1일 8시간 동안 30일간 난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함)
5. 에너지 사용량은 시공장소 단열상태 및 환경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품안내